정부의 대표적인 주택 구입 지원 상품, 보금자리론. 하지만 매년 조건과 금리는 조금씩 달라지는 거 아시나요?
특히 2025년 기준으로 금리, 소득 요건, 대출 한도까지 여러 항목이 조정되면서, 아직도 예전 기준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.
혼자 하나하나 비교하기 어렵다면? 아래에서 가장 최신 조건으로 핵심만 빠르게 확인해보세요.
1. 보금자리론이란?
-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를 위한 주택금융공사 고정금리 대출
- 소득·주택 가격 조건 충족 시 최대 50년까지 분할 상환 가능
- 생애 최초 구입, 신혼부부, 다자녀 등 다양한 우대금리 적용 가능
2. 소득 기준은?
- 기본 조건: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 원 이하
- 우대 조건:
- 신혼가구: 8,500만 원 이하
- 1자녀: 9,000만 원 이하
- 다자녀: 1억 원 이하
3. 대출 대상 주택 조건
- 주택가격 6억 원 이하의 주택만 해당
- 소유권 이전 등기일 기준 전·후 3개월 이내 신청
- 구입용 주택만 가능 (전세 불가)
4. 대출 한도
- 기본 한도: 최대 3.6억 원
- 특례 대상:
- 생애최초·다자녀·전세사기 피해자: 최대 4억 원
- 생애최초 전용 우대 상품: 최대 4.2억 원
5. 금리와 우대금리
- 기본 고정금리 (U보금자리론 2025년 기준):
- 10년: 3.75%
- 15년: 3.85%
- 20년: 3.90%
- 30년: 3.95%
- 40년: 4.00%
- 50년: 4.05% (특정 요건 시 가능)
- 우대 금리 항목:
- 전자약정·전자등기: 0.1%p
- 청년·신혼·다자녀 등 최대 1.0%p까지 가능
- 복수 항목 적용 시 최대 1.0%p 중복 할인
6. 상환 방식
- 상환 방식: 원리금균등, 원금균등, 체증식 중 선택
- 중도상환 수수료: 3년 이내 0.5%, 이후 면제
- 사회적 배려계층, 다자녀(3명이상), 전세사기피해는 중도상환수수료 면제
7.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기금e든든 또는 아낌e보금자리론 웹/앱
- 오프라인 신청: 국민·농협·신한·우리·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
- 주의: 소유권 이전 등기 후 3개월 이내 반드시 신청 필요
자주 묻는 질문 (FAQ)
💬
Q. 무주택자가 아니어도 받을 수 있나요?
기존 1주택 보유자라도 기존 주택을 3년 내 처분 조건이라면 가능하며, 처분계획서 제출 필요합니다.
💬
Q. 소득이 많은데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?
신혼부부, 다자녀 가구 등 우대 조건 충족 시 소득 기준이 상향됩니다. 자녀 수가 많을수록 한도가 넓어집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