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지원 서민대출 중 ‘햇살론’은 단연 인기 있는 금융상품입니다.
하지만 햇살론도 종류가 다양해서 어떤 걸 신청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주요 햇살론 4종을 한 번에 비교해드릴게요.
대상, 금리, 한도, 신청처까지 표로 쉽게 정리했습니다.
1. 햇살론, 어떤 대출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세요
햇살론은 크게 아래 4가지로 나뉩니다. 신청자의 상황(청년/근로자/사업자 등)에 따라 선택이 달라져요.
상품명 | 대상 | 한도 | 금리 | 신청처 |
---|---|---|---|---|
햇살론유스 | 만 34세 이하 청년 | 최대 1,200만 원 | 연 2~3.5% |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|
햇살론15 | 저신용 근로자·자영업자 | 최대 1,400만 원 | 연 15.9% (최대 절반 자동 감면) | 시중은행·저축은행 |
근로자 햇살론 | 소득 있는 저신용 근로자 | 최대 1,500만 원 | 연 11.5% 내외 | 신용협동조합·새마을금고 |
햇살론뱅크 | 정상상환 중인 기존 서민금융 이용자 | 최대 2,000만 원 | 연 5~12% 내외 | 제휴 시중은행 앱 |
※ 금리는 신청자 신용등급, 우대요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.
2. 햇살론유스: 청년 전용 초저금리 대출
대학생, 미취업자, 사회초년생까지도 대상인 정부지원 상품이에요.
2025년부터 사회적 배려 청년에게 연 2% 초저금리 적용이 가능해졌습니다.
- 신청 자격: 만 34세 이하 / 연소득 3,500만 원 이하
- 한도: 최대 1,200만 원
- 금리: 연 2~3.5%
- 신청처: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또는 모바일 앱
3. 햇살론15: 신용등급이 낮아도 가능
과거 햇살론 대환상품이었던 햇살론15는 저신용자 구제용 상품으로, 연 15.9%의 금리를 자동 감면받을 수 있어요.
- 신청 자격: 신용등급 하위 20% 또는 연소득 3,500만 원 이하
- 한도: 최대 1,400만 원
- 금리: 연 15.9% (성실상환 시 자동 감면)
- 신청처: 저축은행, 농협 등
4. 근로자 햇살론: 새마을금고·신협 이용자 중심
상시근로 중이면서 소득이 일정한 저신용자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. 지역 조합에서 진행되므로 조금 더 유연한 심사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어요.
- 자격: 3개월 이상 재직 / 월 150만 원 이상 소득
- 한도: 생계자금 최대 1,500만 원
- 금리: 연 11.5% 내외
- 신청처: 신협, 새마을금고, 수협 등
5. 햇살론뱅크: 상환 이력이 있는 사람만
서민금융상품을 1년 이상 성실 상환한 사람이라면 추가 자금을 받을 수 있어요.
신청은 카카오뱅크, NH농협 등 앱에서도 간편하게 가능합니다.
- 대상: 기존 햇살론·사잇돌2 등 정상상환 1년 이상
- 한도: 최대 2,000만 원
- 금리: 연 6~9% 내외
- 신청처: 제휴 은행 모바일 앱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신용점수가 낮아도 햇살론 신청이 되나요?
햇살론은 보증부 대출이기 때문에 1~6등급 외에도 저신용자도 신청 가능합니다. 특히 햇살론15는 저신용자 전용 상품이에요.
Q. 여러 햇살론을 동시에 신청할 수 있나요?
기본적으로 동일 상품은 중복 불가이며, 일부 상황에서는 다른 종류의 햇살론 병행이 가능하므로 상담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.
✅ 마무리 안내
햇살론은 청년부터 근로자까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대출입니다.
각 상품의 조건을 잘 비교해서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.